한국언어정보학회 2018학년도 2학기 10월 월례 발표회 일정표 (발표 순서는 발표자 선생님들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10월 첫번째] 잡지에 표상된 한국 주거문화의 특성과 변화 -1970 년대 이후 잡지 주거관련 기사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
일상생활을 구성하는 의복이나 식품 , 주택의 특성들은 모두 인간의 세계를 구성해 온 문화적 의미의 표현 매체라고 매체라고 할 수 있으며 , 그 중에서도 특히 , 인류의 인류의 출현과 함께 시작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주거는 오래된 문화현상이다 (McCracken, 1996). (McCracken, 1996). (McCracken, 1996). (McCracken, 1996). (McCracken, 1996). (McCracken, 1996). (McCracken, 1996). (McCracken, 1996). 집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인간이 살아가는 심리·사회적 심리·사회적 공간이며 삶의 터전으로서 문화적 의 미를 함께 드러내는 곳이다 . 그렇기에 집에는 그 안에 거주하는 사람의 감성과 취향 , 사고 와 가치관 , 생활방 식 등이 담겨진다 (손상희 , 2005). , 2005). 또한 집은 단순히 단순히 은신의 기능을 넘어 인간 존재의 확인을 위한 대상이 되며 그 자체로서 자체로서 개인을 표현하는 하나의 아이콘 (icon) 이자 시대의 욕망을 표상하는 표상하는 도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의 미에서 집은 한 사회의 문화를 탐구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대상이 된다.
본 발표에서는 잡지에 잡지에 게재된 주거 관련 기사 말뭉치 분석을 통해 한국 주거문화 의 변천을 검토하고자 한다 . 잡지는 사회여론 형성 및 문화 정체성을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 지고 있는 매체로서 , 잡지에 표상된 주거들은 주거들은 잡지사의 관점에서 시대를 대표하는 주거의 주거의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있으며 잡지에 소개된 집과 거주인의 삶은 독자들에게 독자들에게 일종의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받아들여진다 (우신구·정순원 , 2007). , 2007). 또한 잡지는 잡지는 독자들에게 영향을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그 사회를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반영하여 구성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한 사회의 문화를 문화를 살펴보는 데에 유용한 유용한 자료이다.
분석 의 대상은 여성잡지 5종(주부생활 , 여성동아 , 여성중앙 , 행복이 행복이 가득한 집, 여 원)을 대상으로 1970 년~2015~2015 년의 기간을 범위로 범위로 하여 5년마다의 주거관련 기사를 수집해 수집해 구성한 말뭉치이다 . 쿨백 -라이블러 다이버전스 다이버전스 (Kullback (Kullback (Kullback-Leibler divergence) Leibler divergence) Leibler divergence) Leibler divergence) Leibler divergence) Leibler divergence) Leibler divergence) Leibler divergence) 공식 활용하여 각 시기별 말뭉치로부터 말뭉치로부터 양적 차원에서 특별히 특별히 주목해야 할 가치를 지니는 대상으로서의 차별어 목록을 추출하였고 , 차별어 목록을 대상으로 질적 차원에서의 의미분류를 실시하 였다 . 본 발표에서는 각 시기별 차별어 목록이 목록이 보이는 특성 및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함으 로써 잡지 내 주거관련 기사에 표상된 한국 주거문화의 특성을 살펴보도록 살펴보도록 하겠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