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LI
첨부 파일 #1 jwlee-170916-KSLI_monthly_meeting.pdf (365KB) (Down:3)
    2017년 9월: 이주원 (경희대) 비정점 의미(Non-culmination reading)와 행위주체성(Agency)
    
2017년 9월: 이주원 (경희대)
비정점 의미(Non-culmination reading)와 행위주체성(Agency)

완성서술어(accomplishment predicates)의 비정점 의미(non-culmination reading)는 최근 어휘의미론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다. 예를 들어, (1a)의 영어문장은 모순이 되지만, 이에 해당하는 (1b)의 한국어 문장은 모순이 되지 않는다.

(1) a. He opened the door, #but it is not opened at all.
   b. 그가 문을 열었지만, 문이 전혀 열리지 않았다.

(1b)와 같이 완성서술어의 내재된 결과가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았을 때, 그 서술어는 무결과 의미(zero result reading)를 가진다고 말한다. 무결과 의미는 비정점 의미의 일종이며, 또 다른 비정점 의미로는 다음과 같은 부분결과(partial result)가 있다.

(2) 그가 문을 열었고, 문이 조금 열리었다.

(2)의 선행절은 문이 완전히 열리지는 않았지만(즉, 정점의미 ‘culmination reading’은 아니지만), 문이 어느 정도 열렸다는 의미로서 부분결과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한국어의 비정점 의미의 현상을 중심으로, 그 외 다양한 언어에서 발견되는 비정점 의미의 현상과 이러한 비정점 의미를 설명하고자 하는 분석 시도들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한국어의 무결과 의미에 대한 의도성-기반 분석(Lee, 2015; Beavers & Lee, under review)과 다양한 언어의 비정점 의미에 대한 행위주체자 제어 가설(Agent Control Hypothesis in Demirdache & Martin, 2013)을 소개하고 그 내용을 토의한다.

• 학회 사무국: [우 02447] 서울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네오르네상스관 지하 108호)
전화: (02) 961-0211, 이메일: ksligeneral@gmail.com
• 학회 재무/계좌: 카카오뱅크 7979-76-87731 (예금주: 재무이사 남윤주 교수)
[우 04763]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독어독문학과 남윤주 교수 연구실
전화: (02) 2220-0765, 이메일: yjnam05@hanyang.ac.kr
• KCI 등재지 [언어와 정보] 편집위원회: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JAMS 바로가기: https://ksli.jams.or.kr/
[우 04066]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94(상수동)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임동식 교수 연구실
전화: (02) 320-1860, 이메일: kslijournal@gmail.com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ERROR! : 팝업창 출력 지정이 잘못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