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화 |
abstraction |
이익환1983 |
추출 |
abstraction |
홍민표1999(1) |
추출연산자 |
abstraction operator |
이기용1997 |
가용성 |
acceptability |
장석진1994(1) |
수용성 |
acceptability |
장석진1994(1) |
용인가능성 |
acceptability |
이기용1997 |
용인성 |
acceptability |
정희자1999 |
가용성 |
acceptablility |
장석진1993 |
수용 |
accommodation |
장석진1994(1) |
조정 |
accommodation |
윤영은1999(3) |
완성 |
accomplishment |
생성어휘부_이정민/강범모/남승호/김윤신 |
완성성 |
accomplishment |
양정석2002 |
완수동사 |
accomplishment |
이성범2002(5) |
완성성 동사 |
accomplishment verb |
양정석2002 |
완수동사 |
accomplishment verb |
곽은주1999(1) 이기용1997 |
달성 동사 |
achievement |
생성어휘부_이정민/김윤신 |
성취성 |
achievement |
양정석2002 |
달성동사 |
achievement verb |
이기용1997 이성범2002(4) |
성취동사 |
achievement verb |
곽은주1999(1) |
성취성 동사 |
achievement verb |
양정석2002 |
행위 |
act |
생성어휘부_강범모 |
행위의 연속 |
act sequence |
정희자1999 |
행위 |
action |
이익환2000(2) |
작용의미층 |
action tier |
고석주외1999 |
행위적층위 |
actional tier |
이성범2002(1) |
동작동사 |
active verb |
곽은주1999(2) 윤영은1999(1) |
활성 지역 |
active zone |
정희자1999 |
동작성 |
activity |
양정석2002 |
행위 |
activity |
생성어휘부_남승호 |
행위 |
activity |
생성어휘부_이정민 |
동작성 동사 |
activity verb |
양정석2002 |
행동동사 |
activity verb |
이성범2002(10) |
행위동사 |
activity verb |
이기용1997 |
실행자 |
actor |
이익환.이민행 2005 |
작용자 |
Actor |
고석주외1999 |
행위주 |
actor |
이성범2002(4) |
단언행위 |
acts of asserting |
장석진1993 |
평가행위 |
acts of evaluating |
장석진1993 |
권위행사행위 |
acts of exercising authority |
장석진1993 |
화자태도반영행위 |
acts of reflecting speaker-attitude |
장석진1993 |
명세행위 |
acts of stipulating/stipulatives |
장석진1993 |
제안행위 |
acts of suggesting/suggesting |
장석진1993 |
실세계 |
actual world |
이익환1999(2) 이익환2000(1) |
실재세계 |
actual world |
이익환1986 |
실제세계 |
actual world |
이기용1997 이익환1983 |
반대 |
adversative |
장석진1993 |
반의동사 |
adversative |
이익환2000(1) |
반의술어 |
adversative |
이익환2000(1) |
피해 |
Adversative |
고석주외1999 |
반의적술어 |
adversative predicate |
이성범2002(2) |
정서작용 |
affect |
고석주외1999 |
피영향자 |
affected |
이성범2002 |
작용성 |
affectedness |
고석주외1999 |
피작용성 |
affectedness |
양정석2002 |
영향성 자질 |
affectedness feature |
이익환.이민행 2005 |
영향받음 가설 |
Affectedness Hypothesis |
생성어휘부 |
감정사역 |
affective |
이익환.이민행 2005 |
영향구성성분 |
Affective constituent |
이익환2000(1) |
감정적의미 |
affective meaning |
이성범1999 |
행동주 |
agent |
이성범2002 |
행동주 |
agent |
생성어휘부_강범모 |
행위자 |
Agent |
이익환2000(3) |
행위자 |
agent |
장석진1993 |
행위자 |
Agent |
고석주외1999 |
행위자 |
agent |
정희자1999 |
행위자초점 |
agent focus |
최재웅외1999(1) |
작인역 |
AGENTIVE |
생성어휘부_이정민/강범모/남승호/김윤신 |
동작성 |
agentivity |
생성어휘부_이정민 |
동작태 |
Aktionsart |
신수송2001 |
상적특성 |
aktionsart |
정희자1999 |
어휘상 |
Aktionsarten |
이성범2002 |
앨지브러 |
algebra |
강범모1999(1) |
언어의 대수학 |
algebra of language |
이성범1999 |
대수의미론 |
algebraic semantics |
남승호1999(1) |
선택질문 |
alternaive question |
장석진1994(1) |
이접부정 |
alternative denial |
이익환1983 |
선택의문문 |
alternative question |
장석진1985 |
대안의문문 |
alternative questions |
홍민표1999(1) |
대체의미론 |
alternative semantics |
최재웅외1999(3) |
선택지의미론 |
alternative semantics |
남승호1999(1) |
대체물 |
alternatives |
홍민표1999(1) |
중의 |
ambiguity |
장석진1985 |
상사(相似) |
analogy |
고석주외1999 |
유추 |
analogy |
고석주외1999 |
유추 |
analogy |
정희자1999 |
분석수 |
analysis tree |
이기용1997 |
분석수형도 |
analysis tree |
이영헌1999(1) 이익환1983 |
분석적참 |
analytic truth |
이예식1999(1) |
분석진리 |
analytic truth |
이익환2000(2) |
분석성 |
analyticity |
이익환1983 이익환1986 이익환2000(1) |
대용어 |
anaphor |
이익환2000(4) |
조응사 |
anaphor |
장석진1993 장석진1994(3) |
대용어 |
anaphora |
신수송2001 |
대용현상 |
anaphora |
이익환2000(2) |
선행조응 |
anaphora |
장석진1985 |
전방조응 |
anaphora |
장석진1994(1) |
전방조응 |
anaphora |
정희자1999 |
조응 |
anaphora |
장석진1985 장석진1993 장석진1994(2) |
조응 |
anaphora |
장석진1994(1) |
조응 |
anaphora |
장석진1994(1) |
조응 |
anaphora |
장석진1994(1) |
조응관계 |
anaphora |
윤영은1999(2) |
조응사 |
anaphora |
장석진1985 |
조응어 |
anaphora |
이기용1997 |
조응자결속 |
anaphor-binding |
윤영은1999(2) |
전방조응적 생략 |
anaphoric ellipsis |
정희자1999 |
조응표현 |
anaphoric expression |
이익환1986 |
조응적 의미 |
anaphoric meaning |
정희자1999 |
조응지시 |
anaphoric reference |
장석진1994(1) |
전방 대용 |
anaphoric substitution |
정희자1999 |
전방조응적 용법 |
anaphoric use |
정희자1999 |
대용어 |
anaphors |
홍민표1999(1) |
정박 |
anchor |
장석진1993 |
닻내림 |
anchoring |
이정민(심재기외84) |
정박 |
anchoring |
이기용1997 |
선행사 |
antecedent |
장석진1985 장석진1993 |
선행사;선행절 |
antecedent |
이익환2000(5) |
전건 |
antecedent |
이기용1997 이익환1983 |
구역 |
area |
이익환2000(2) |
영역 |
area |
이익환1983 |
논항 융합 |
argument fusion |
고석주외1999 |
논항결합규칙 |
argument fusion |
이익환2000(3) |
상 |
aspect |
곽은주1999(1) 이기용1997 이성범2002 이익환2000(1) |
상 |
aspect |
신수송2001 |
시상 |
aspect |
장석진1985 장석진1993 장석진1994(1) |
시상 |
aspect |
양정석2002 |
시상 동사 |
aspect verb |
고석주외1999 |
무상 |
aspectless |
이익환2000(1) |
상적 특성 |
aspectual character |
생성어휘부_남승호 |
상적 부류 |
aspectual class |
생성어휘부_김윤신 |
시상성 분류 |
aspectual classification |
양정석2002 |
상적자질 |
aspectual feature |
이기용1997 |
상적 계면 가설 |
Aspectual Interface Hypothesis |
생성어휘부 |
시상성 가설 |
aspectual interface hypothesis(cf. Tenny1994) |
|
상적의미 |
aspectual meaning |
생성어휘부_남승호/김윤신 |
시상역 |
aspectual role(cf. Tenny1994) |
양정석2002 |
상동사 |
aspectual verb |
이익환2000(1) |
양상 동사 |
aspectual verb |
정희자1999 |
시상성 |
aspectuality |
양정석2002 |
단언가능성 |
assertability |
이기용1997 |
주장문장 |
asserted sentence |
이익환1983 |
단언 |
assertion |
이기용1997 이익환1986 이익환2000(12) 장석진1993 최재웅외1999(1) |
주장 |
assertion |
이익환1983 |
주장 |
assertion |
신수송2001 |
단언적 초점 |
assertive focus |
정희자1999 |
단언 술어 |
assertive predicate |
정희자1999 |
단언동사 |
assertive verbs |
장석진1993 |
단언 |
assertives |
장석진1994(1) |
단언화행 |
assertives |
장석진1993 |
찬동행위 |
assertives |
장석진1993 |
연상 |
association |
정희자1999 |
연합 |
association |
이익환2000(2) |
연계경로 |
association path |
최재웅외1999(1) |
초점연계이론 |
Association-with-focus theory |
최재웅외1999(1) |
연합적결합력 |
associative bond |
이익환1986 |
연상적의미 |
Associative Meaning |
박영순1994(1) |
반대칭적 |
asymmetric |
이익환1983 |
비대칭해석 |
asymmetric reading |
윤영은1999(2) |
주어반대칭해석 |
asymmetric reading |
이익환2000(2) |
반대칭관계 |
asymmetric relation |
이익환2000(1) |
반대칭적관계 |
asymmetric relation |
이익환1986 |
비대칭 |
asymmetrical |
이정민1999(1) |
비대칭성 |
asymmetry |
정희자1999 |
원자 |
atom |
강범모1999(4) |
원자적 |
atomic |
이익환1983 |
원자성분 |
atomic component |
이기용1997 |
원자적요소 |
atomic element |
이익환1986 |
원자문장 |
atomic formula |
이익환1983 |
원자술어 |
atomic predicate |
이기용1997 |
단순명제;원자명제 |
atomic proposition |
이익환2000(3) |
원자명제 |
atomic proposition |
이익환1983 이익환1999(1) |
원자문 |
atomic sentence |
이익환2000(5) |
원자적형식 |
atomic wff |
이익환1983 이익환1999(1) 이익환2000(1) |
원자성 |
atomicity |
곽은주1999(1) |
관심의대상 |
attended object |
장석진1993 |
관심상태 |
attention state |
장석진1993 |
관심상태 |
attentional state |
장석진1994(2) |
주의상태 |
attentional state |
최재웅외1999(1) |
배경 |
background |
남승호1999(2) 장석진1993 최재웅외1999(1) 홍민표1999(1) |
배경 가정 |
background assumption |
정희자1999 |
배경가정 |
background assumption |
이기용1997 |
배경상정 |
background assumption |
장석진1985 |
배경영역 |
background domain |
최재웅외1999(1) |
배경적정보 |
background information |
이성범2002 |
배경 지식 |
background knowledge |
정희자1999 |
배경상황 |
Background Situation:BS |
장석진1993 |
배경 정보 |
backgrounding information |
정희자1999 |
후향적중심 |
backward looking center |
최재웅외1999(1) |
뒤를보는중심 |
backward-looking center |
장석진1993 |
후시성중심 |
backward-looking center |
장석진1993 장석진1994(2) |
믿음 |
belief |
이익환1986 이익환2000(2) |
믿음관계 |
belief |
이익환2000(2) |
신념 |
belief |
정희자1999 |
믿음구조 |
belief context |
이익환1983 |
믿음문장 |
belief sentence |
이익환1983 이익환1986 |
믿음 세계 |
belief world |
정희자1999 |
수혜격 |
Benefactive |
고석주외1999 |
수혜자 |
benefactive |
이성범2002 |
수혜자 |
Benefactor |
이익환2000(1) |
수혜자 |
Beneficiary |
고석주외1999 |
수혜자 명사구 부가어 |
Beneficiary NP Adjunct |
고석주외1999 |
수혜물 |
Benefit |
고석주외1999 |
양조건 |
biconditional |
이익환1983 |
양방함의 |
bidirectional |
이익환2000(2) |
양방향성 |
bidirectionality |
정희자1999 |
쌍방 |
bilateral |
이익환1983 |
쌍방함의 |
bilateral implication |
이익환1986 |
2항 |
binary |
생성어휘부_남승호 |
이원적인 대립 자질 |
binary |
생성어휘부_김윤신 |
2가자질 |
binary feature |
이익환1983 |
이원 대립 |
binary opposition |
생성어휘부_김윤신 |
2원관계 |
binary relation |
이익환2000(1) |
이원적인구조 |
binary structure |
최재웅외1999(1) |
이가논리 |
bivalent logic |
이익환1986 |
봉쇄 |
blocking |
이성범2002 |
아래에서위로 |
bottom-to-top |
이익환1983 이익환1986 |
아래에서-위로 |
bottom-up |
이익환2000(1) |
묶인조응어 |
bound anaphora |
이익환1986 |
결속된 논항 |
bound argument |
고석주외1999 |
결속된논항 |
bound argument |
이익환2000(1) |
의미역들이 결속된 복합체 |
bound complex of theta-role |
고석주외1999 |
결속초점구조 |
bound focus construction |
최재웅외1999(1) |
결속대명사 |
bound pronoun |
이성범2002 |
결속변항 |
bound variable |
이성범2010(4) 이익환2000(10) |
묶인변항 |
bound variable |
이익환1983 이익환1999(1) |
가산성 |
calculability |
장석진1993 |
계산성 |
calculability |
장석진1994(1) |
계산가능 |
calculable |
이익환2000(1) |
계산자 |
calculator |
이익환1986 |
취소성 |
cancellability |
장석진1993 장석진1994(1) |
삭제연산 |
cancellation operation |
이익환1983 |
취소규칙 |
cancellation rule |
이익환2000(1) |
삭제이론 |
cancellation theory |
이익환1986 |
취소이론 |
cancellation theory |
이익환2000(3) |
데카르트적 |
Cartesian product |
이기용1997 |
적집합 |
Cartesian product |
이익환1983 이익환1999(1) 이익환2000(3) |
후방조응 |
cataphora |
정희자1999 |
후행조응 |
cataphora |
장석진1985 장석진1994(3) |
후방조응적 생략 |
cataphoric ellipsis |
이성범1999 |
후방 대응 |
cataphoric substitution |
정희자1999 |
후방조응적 용법 |
cataphoric use |
이성범1999 |
범주이론 |
categorial approach |
홍민표1999(5) |
인과 연쇄 |
causal chain |
생성어휘부_이정민 |
인과관계 |
causal relation |
이익환1983 이익환2000(1) |
인과관계이론 |
causal theory |
이익환2000(1) |
사동/사동화 |
causation |
고석주외1999 |
원인발생 |
Causation |
생성어휘부_이정민 |
사동적 |
causative |
고석주외1999 |
사동성 교체 |
causative alternation |
고석주외1999 |
사역규칙 |
causative rule |
이익환1986 |
사동사 |
causative verb |
장석진1994(1) |
사역동사 |
causative verb |
이익환2000(2) |
사역성 |
causativity |
이익환.이민행 2005 |
사역자 |
cause |
이익환.이민행 2005 |
원인의 하위절 |
Cause subordinate clause |
고석주외1999 |
형태변화 |
change-of-shape |
생성어휘부_이정민 |
촘스키첨가 |
Chomsky-adjunction |
장석진1985 |
상황성 의미장 |
circumstantial field |
고석주외1999 |
상황성 의미영역 |
circumstantial field of meaning |
양정석2002 |
상황적인 처소 |
circumstantial location |
생성어휘부_남승호 |
처소 |
circumstantial location |
생성어휘부_남승호 |
추의 |
clausal conversational |
장석진1994(1) |
절 대화함축 |
clausal conversational implicature |
정희자1999 |
절함축 |
clausal implicature |
이익환2000(5) |
분리구문 |
cleft construction |
정희자1999 |
분열문 |
cleft construction |
최재웅외1999(1) |
분열구문 |
cleft sentence |
이성범2002 |
분열문 |
cleft sentence |
이익환1986 이익환2000(2) 장석진1993 |
공동합성 |
co-composition |
생성어휘부_이정민/김윤신 |
합성원리 |
Co-composition |
이예식1999(1) |
공동 합성적 가리기 |
co-compositional shadowing |
생성어휘부_김윤신 |
응집성 |
coherence |
정희자1999 |
조리 |
coherence |
장석진1994(7) |
조리성 |
coherence |
장석진1993 |
유대 |
cohesion |
장석진1994(5) |
응결성 |
cohesion |
정희자1999 |
동지표 |
coindex |
양정석2002 |
공지표 |
coindexing |
장석진1994(1) |
동지표화 |
coindexing |
고석주외1999 |
공지표 |
co-indexing |
홍민표1999(2) |
집합족 |
collections |
이익환1983 |
집단적 |
collective |
강범모1999(3) |
집합적 해석 |
collective interpretation |
정희자1999 |
집합적해석 |
collective interpretation |
이익환1986 |
집합해석 |
collective interpretation |
이익환2000(3) |
집합적양화 |
collective quantification |
이성범2002 |
통괄 |
collectively exhaustive |
이익환1983 |
집단성 |
collectivity |
강범모1999(3) |
색 |
color |
생성어휘부_이정민 |
색채 |
color |
고석주외1999 |
색채명 |
color term |
이익환1983 이익환1986 |
색깔명 |
color terms |
이익환2000(1) |
명령 |
command |
이익환2000(6) |
통어 |
command |
이익환1986 장석진1993 |
평언 |
comment |
장석진1993 최재웅외1999(1) |
해설 |
comment |
정희자1999 |
언약진술행위 |
commissive constative |
장석진1993 |
언약동사 |
commissive verbs |
장석진1993 |
언약-지시행위 |
commissive-directive |
장석진1993 |
언약행위 |
commissives |
장석진1994(2) |
언질 |
commissives |
이익환2000(2) |
언약행위 |
commissives:acts of commiting |
장석진1993 |
언약 |
commit |
장석진1993 |
공동격 |
commitative |
생성어휘부 |
강한언명 |
commitment |
이익환2000(1) |
언질 |
commitment |
정희자1999 |
공동의장 |
common ground |
장석진1994(1) |
공유배경 |
common ground |
윤영은1999(3) |
공통기반 |
common ground |
최재웅외1999(1) |
통보적 |
communicative |
장석진1993 |
의사전달능력 |
communicative capacity |
장석진1985 |
의사소통 역량 |
communicative dynamism |
정희자1999 |
통보적역동성 |
communicative dynamism |
장석진1993 장석진1994(1) |
통보적 기능 |
communicative function |
정희자1999 |
내적지식 |
competence |
이익환1983 |
능력 |
competence |
이익환2000(1) |
언어능력 |
competence |
이익환1986 |
지식 |
competence |
이익환1983 |
보문 |
complement |
홍민표1999(1) |
보어 |
complement |
장석진1993 |
보집합 |
complement |
이정민1999(1) |
보충어 |
complement |
장석진1993 |
보충어 |
complement |
양정석2002 |
상보 |
complement |
이정민1999(3) |
여집합 |
complement |
이익환1983 |
보어딸 |
complement daughter |
장석진1993 |
보문구조 |
complement structure |
장석진1993 |
보완의대립 |
complementary opposition |
이성범2002 |
여집합 |
complementary set |
장석진1993 |
상보적 가리기 |
COMPLEMENTARY SHADOWING |
생성어휘부_김윤신 |
조합 |
composition |
이익환1983 |
의미 합성 |
composition of meaning |
양정석2002 |
합성성 |
compositionality |
생성어휘부_이정민 |
합성성 (원리) |
compositionality |
고석주외1999 |
합성성 원리 |
compositionality principle |
정희자1999 |
합성성법칙 |
compositionality principle |
최재웅외1999(1) |
합성성원리 |
compositionality principle |
이예식1999(2) 최재웅외1999(1) 홍민표1999(3) |
합성성의원리 |
compositionality principle |
이익환1983 |
합성원리 |
compositionality principle |
윤영은1999(2) 이익환1999(1) 이익환2000(9) |
합성의원리 |
compositionality principle |
장석진1994(1) |
복합적형식 |
compound wff |
이익환1983 |
결합 |
concatenation |
이기용1997 |
개념 |
concept |
이익환1983 이익환1986 |
개체들의내포 |
concept |
이익환1983 |
의미적개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