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아래 글은 2015년까지 운영했던 엣날 홈페이지(http://acoms.atit.co.kr/~ksli/7s_00.html)의 용어표준화 이니셔티브 메뉴 아래에 있는 글을 보관 목적으로 그대로 옮겨 놓은 것입니다. 현재는 이 활동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
용어 표준화의 추진 방향과 일정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원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한국언어정보학회의 용어표준화위원장을 맡고 있는 연세대학교 양정석입니다. 지난 3월,
용어표준화위원장을 맡아달라는 우리 학회 회장님의 간곡한 요청을 받고 수락하였으나, 그 동안 아무런 활동이 없이 지내오다가 벌써 한
해를 마감하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뜻하지 않던 업무들이 폭주하게 되어 용어 표준화 작업의 계획 단계에조차도
집중을 하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회장님과 회원 여러분들께 깊이 사과드릴 뿐입니다. 회장님의 원래 계획에는 부응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뒤늦게나마 한언정의 의미론, 화용론 분야 학술용어 표준화를 위한 작업을 추진해보려고 합니다. 다행히, 고려대학교 최재웅
교수님께서 학술단체연합회의 학술용어 표준화 사업 중 언어학 분야의 용어 정리 작업을 진행하시면서 만들어 놓은 자료들이 우리
위원회에 제공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그 동안 자료를 추가하여 약 6600개의 의미론, 화용론 분야 용어 목록을 만들어 놓고
있습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해서, 대략 다음과 같이 추진 일정을 설정하고자 합니다.
-
1단계(2006년 3월까지): 의미론-화용론 분야의
저서, 번역서 중 최재웅 교수님 자료에 포함되지 않은 자료들을 보충 입력하는 작업을 계속 실시할 것입니다. 또한 회원님들 각자의
용어 정리 목록들도 받아들일 것입니다. 한언정 홈페이지에 용어 정리 코너를 설정할 것입니다.
-
2단계(2006년 12월까지): 한언정 홈페이지에 설정된 용어 정리 코너를 통하여, 논란의 소지가 있는 예들을 제시하고, 회원들 간의 의견 교환, 토론을 유도할 것입니다.
-
3단계(2007년 2월 말까지): 한언정 홈페이지를 통한 토론의 결과를 반영하여 의미론?화용론 분야 용어 목록을 완성합니다. 이 목록은 반드시 단일 용어로의 통일을 전제하지 않습니다. 복수의 용어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의 시점에서 회원 여러분께 요청 드릴 일은, 1)의미론 및 화용론에 관한 용어의 목록들을 정리해
가지고 계신 회원님이 계시면 우리 위원회에 보내 주십사 하는 것입니다. 회원님들로부터 이러한 목록들을 모으는 일은 앞에 적은
‘1단계 작업'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현재 이미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의 ‘생성어휘부 이론' 연구모임에서 보내 주신 용어
목록(300개 남짓)이 주어져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메일을 통하여 용어표준화위원장에게 보내 주시면 됩니다. 보내 주신
용어 목록들은 한언정의 단일한 용어 데이터베이스의 일부가 되어, 회원 여러분께 공지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를 위한 심의 과정을
거치게 될 것입니다. 2)용어 표준화와 관련되는 온갖 제안과 조언을 환영합니다. 이 역시 용어표준화위원장에게 이메일로 의견을
보내 주시면 됩니다. 다시 한번, 용어 표준화 작업에 대한 회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요청 드립니다.
2005년 12월
한국언어정보학회 용어표준화위원장
양 정 석(jsyang@dragon.yonsei.ac.kr) 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