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인사말

감사의 말씀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경북대학교 영어교육과 최인철입니다. 여러모로 부족하지만, 한국언어정보학회 제16대 회장으로 여러분과 함께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인문학을 경시하는 사회적 풍조 속에서 언어학 또한 위기의 순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학문적 가치가 점차 평가절하되면서 우리 학회의 위상 또한 축소되는 현실을 마주하고 있고, 학회의 활동 역시 위축됐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학회의 명맥을 이으며 그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힘써주신 조세연, 송민영 전임 회장님을 비롯하여 학회의 전 회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언어학의
중요성

언어는 인간 사고와 소통의 본질이며, 학문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가 연구하고 탐구하는 언어학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파헤치는 연구일뿐 아니라 사회와 문화, 기술 발전의 중요한 토대이기도 합니다. 우리 학회가 언어학 발전의 핵심 역할을 수행해야 함은 언어학자로서 우리에게 주어진 임무일 것입니다. 저는 신임 회장으로서 우리 학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학문적 교류와 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학회의 활동을 더욱 활발히 펼쳐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한국언어정보학회가 언어학의 가치를 지키고 확산하는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회원 여러분과 함께 뜻을 모으고 힘을 합쳐 나가겠습니다.
greeting01
greeting02
greeting03

4차 산업혁명에
걸맞는 연구

우리 학회는 ‘언어정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언어학과 언어학의 과학적 실용적 융합을 핵심 연구 분야로 삼고 있습니다. 이는 인공지능(AI), 딥러닝, 음성인식, 음성합성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 방향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월례 발표와 학술대회에서 이러한 최신 연구를 적극적으로 다루어 회원 여러분의 관심을 높이고, 학회 참여를 더욱 활발하게 만들겠습니다. 또한, 학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회원 수 확충에도 힘쓰겠습니다. 신진 연구자와 대학원생의 참여를 독려하여 학술 발표 및 논문 투고를 장려하고, 신경언어학, 음성학, 음운론, 심리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을 영입하여 학회의 외연을 넓히겠습니다.

역사와 전통

이 모든 일들은 저와 회원 여러분들이 함께 이루어야 할 일들입니다. 그것이 선배 연구자들이 힘써 이루고 가꾸어 온 언어학의 가치와 한국언어정보학회라는 소중한 기구의 전통을 이어 나가는 길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학회장으로서 학회가 언어학 발전의 주춧돌 임무를 수행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2025년 3월
제16대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장
최인철 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