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로그램
2017학년도 1학기 3월 월례 발표회 초록
관리자 2017.03.26 762

한국언어정보학회2017학년도 1학기 3 월례 발표회 일정표


날짜

시간

발표자

발표제목

사회

3/25
(
)

09:30
10:10

서지혜 (한국외대)
학위논문발표

영미 아동의 비교급 사용과 습득:
CHILDES
데이터베이스 사용기반 분석

송상헌
(
인천대)

10:10
11:00

윤소연 (인천대)

Usage-based Approach to
Language Use and Linguistic Knowledge

Break (20)

11:20
12:10

김한샘 (연세대)

한국어 말뭉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총회, 평의회, 이사회 (20분 내외)








[3월 첫번째] 영미 아동의 비교급 사용과 습득: CHILDES 데이터베이스 사용기반 분석 (서지혜, 한국외대)

아동은 언어 구문이나 어휘의 특징을 파악하고, 양육자가 사용하는 어휘의 빈도나 환경의 영향을 받아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HILDES 데이터베이스에서 1세∼7세의 영국과 미국 아동 발화를 분석하여 아동이 비교급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언어 요인과 빈도 요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사적 구문에 민감한 4세를 기준으로 아동의 연령별(3세 vs. 5∼7세) 비교급 사용(ER 비교급(bigger) vs. MORE 비교급(more interesting))이 어느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3세와 5∼7세 아동의 비교급 사용에 차이를 보인 언어 변수는 마지막 분절음, than의 유무, 전치 수식어인데, 3세 아동은 than을 많이 사용하지 않았으며, 전치수식어가 없는 문장에 MORE 비교급을 더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양육자의 ER 비교급 구문 사용 빈도가 아동의 ER 비교급 사용과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아동의 연령별 사용 양상에 대한 분석은 아동이 언어 요인 뿐 아니라 양육자의 빈도 요인의 영향을 받아 비교급을 사용하고 습득하는 사용기반 이론(usage-based theory)의 증거를 제시한다.

[3월 두번째] Usage-based Approach to Language Use and Linguistic Knowledge (윤소연, 인천대)

본 발표는 언어 사용기반 모델(usage-based model)과 관련된 몇 가지 이슈들과 이에 대한 연구들을 간략히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모델의 핵심 가정은 “언어 체계는 언어 사용의 실례 (instances)를 기반으로 구축된다”는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먼저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언어지식의 형성에 대해 연구한 몇 몇 논문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특히 모국어 습득, 외국어 학습의 측면에서 argument structure의 습득과 빈도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사용기반 모델을 바탕으로, 언어사용의 또 다른 측면인 언어처리(processing)까지 함께 살펴보고자 언어지식, 언어사용 빈도, 언어처리의 상호관계를 강제(coercion)와 관련 지은 본인의 연구를 요약한다. 마지막으로 언어사용의 빈도가 언어지식의 변화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본인의 최근의 연구를 소개한다.

[3월 세번째] 한국어 말뭉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김한샘, 연세대)

2007년 21세기 세종계획 이후 10년이 지난 지금 한국어 언어 자원은 규모면에 있어서 영어, 일본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세계 최고의 언어 자원들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한국어 언어 자원은 단순히 언어 연구나 자연 언어 처리의 실험 자료를 넘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 시대에서 대한민국과 한국어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한 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어 자원은 단기간에 효과적인 자료 구축이 어려우며, 궁극적으로 한국의 문화와 사회 전반을 반영하는 자료 수집이 이루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국어기본법에 의한 국어정책 및 문화산업적 기여 등을 고려한 한국어 언어 자원의 구축과 공유를 위한 중장기 계획 및 추진이 시급하다. 이러한 필요성 하에 국제적인 언어 관련 기술 및 자원의 수준을 파악하고 한국어 관련 기술 및 자원의 현황을 정리한 후 수요를 분석하여 한국어 언어 자원 구축 및 활용 분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전망하고자 한다.

×